Page 9 - 컴퓨팅 사고 Level Up 소프트 파워 with 스크래치 도서미리보기
P. 9

CHAPTER 3? 문제해결과 컴퓨팅 사고            037

결안 개발, ④ 실행 및 평가’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최종 평가를 통해 새로운 문제의
식을 가질 수 있는 계기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런 과정 속에서 문제의 해결안을 도출하
기 위해 컴퓨팅 사고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컴퓨팅 사고 단계(Computational Thinking Phase)는 그림 3.2의 컴퓨팅 사고 모델에
서와 같이 발생한 문제해결을 위해 컴퓨팅 사고의 이전 단계인 문제인식, 원인분석의
프로세스를 통해 문제의 해결안을 개발한다. 문제로 부터 도출된 근본 원인을 효과적
으로 해결할 수 있는 최적의 해결 방안을 수립하는 단계인 ‘해결안 개발’은 컴퓨팅 사고
구성요소로서 분해, 추상화, 패턴인식, 알고리즘 등의 방법론을 활용하여 컴퓨팅 사고
를 가지고 문제를 원만히 해결할 수 있다. 이어 ‘해결안 개발’을 통해 만들어진 실행 계
획을 실제 상황에 적용하는 ‘실행 및 평가 단계’로 접어든다. 이때에 평가 결과에 대한
미해결의 문제는 다시 피드백을 통해 프로세스를 진행하여 최종의 문제 해결점에 도달
하게 된다.

   문제                                       컴퓨팅 사고
문제 인식                                            모델

              분해 추상화

       원인 분석  해결안 개발               실행 및 평가

              패턴인식  알고리즘

컴퓨팅 사고 전 단계   컴퓨팅 사고 단계                              코딩

       그림 3.2? 문제해결 방법에서 컴퓨팅사고 단계

3.3.1? 분해(Decomposition)

분해는 주어진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다 작은 문제로 분해하는 것이다. 이처
럼 복잡한 문제나 시스템을 여러 작은 부분으로 나누어서 문제를 해결하면 보다 쉽게
문제해결이 되는 장점이 있다.

맥킨지식 문제해결법인 로직트리(Logic Tree)는 경영전략에 많이 쓰이고 있다. 이것은
문제해결에 있어서 논리적 사고력을 개발하는 방법으로 논리의 나무라고 하는 로직트
리는 핵심 개념을 연역적으로 위에서 아래로 분류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하나의 줄기에
서 시작하여 2, 3, 4번째 나뭇가지처럼 차차 갈라지면서 빠짐없이 중복되지 않게 생각
   4   5   6   7   8   9   10   11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