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 - 컴퓨팅 사고 Level Up 소프트 파워 with 스크래치 도서미리보기
P. 7

CHAPTER 3? 문제해결과 컴퓨팅 사고                           035

닫는 능력으로서 예측하지 못한 일이 발생하였을 때 이미 일어난 문제를 인식하고 해
결함에 있어 창의적, 논리적, 비판적으로 생각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문제처리능력은
학업이나 직장에서 업무와 관련된 문제의 특성을 파악하여 문제해결을 위한 대안을 제
시·적용하고 그 결과를 평가하여 피드백 하는 능력으로 문제인식, 대안선택, 대안적
용, 대안평가 등으로 구분한다.

문제해결을 위해 컴퓨팅 사고력은 지넷 윙 교수가 제시한 컴퓨팅 사고의 특징으로 구
성요소는 분해, 추상화, 패턴인식, 알고리즘 등 컴퓨팅 사고 요소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다.

인간은 일반적으로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논리적으로 접근하기 보다는 과거의
경험이나 단순한 정보에 의존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경우가 많으며, 항상 해왔던 방식
으로 업무를 처리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하지만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재상은 타인과
차별화된 사고, 기존 방식에 얽매이지 않고 개방된 창의적인 사고가 필요하다. 또한 문
제의 상황에 대해 논리적으로 접근하여 생각하는 논리적 사고가 요구되기도 한다. 따
라서 문제해결을 위해 창의적·논리적 사고를 바탕으로 자신에게 주어진 문제를 정확
히 인식하고, 문제가 발생한 원인과 대안을 다양하게 분석할 수 있는 문제처리능력으
로서 컴퓨팅 사고를 가질 필요가 중요시 되고 있다.

    3.2? 	 컴퓨팅 사고 기반 문제해결

우리는 일상에서 “먹기 위해 사느냐? 살기 위해 먹느냐?”라는 농담을 하지만, 또한 철
학적 의미를 담고 있다. 이것이 고민거리 일 수 있다. 고민은 개인의 마음속으로 괴로
워하며 속을 태우는 문제로 결국 스스로 해결해야 하는 문제이다. 문제는 단순한 결과
를 얻기 위해 해답을 요구하는 물음뿐만 아니라 우리가 일상과 업무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모든 과제를 담고 있다.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 실제로 문제해결을 위한 방법을 모
르거나, 얻고자 하는 해답은 있지만 해답을 얻는데 필요한 일련의 행동을 알지 못한 상
태에 빠진다. 따라서 이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적절한 문제해결의 프로세스를 활
용할 필요가 있다.

4차 산업혁명으로 미래 우리사회의 급격한 변화와 함께 교육부분에서도 혁신이 이루어
   2   3   4   5   6   7   8   9   10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