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 - 컴퓨팅 사고 Level Up 소프트 파워 with 스크래치 도서미리보기
P. 8

036 PART 1? 소프트웨어와 컴퓨팅 사고 이해

          지지 않으면 개인이나 국가발전에 지체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아직 정해진 4차 산업
          혁명을 위한 주요한 키워드는 없다. 다만 교육부분에서 우리의 관심사가 되고 있는 것
          이 소프트웨어 교육이라 할 수 있다. 미래는 더 이상 하드웨어의 혁신이 아닌 소프트웨
          어가 혁신의 중심이고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인재가 가장 큰 사회 자산이 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를 잘 만들 수 있는 방법과 핵심적인 창의적 인재를 육성할 수 있는 좋은 방
          법은 컴퓨팅 사고 기반의 문제해결형 교육이어야 한다. 컴퓨팅 사고를 위해 선진국들
          에서 적극 활용하고 있는 코딩교육으로, 만들어진 코드를 분석하고 익히는 ‘코드리뷰
          (Code Review)’ 방식이다. 코드리뷰는 코드를 개발자가 작성하고, 다른 개발자가 정해
          진 방법을 통해 검토하는 일을 말한다. 이처럼 컴퓨팅 사고는 일련의 절차적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처럼 코딩의 프로세스 실습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사고가 필요
          하다.
          제2절의 컴퓨팅 사고 프로세스에서 ① 문제 인식, ② 원인 분석, ③ 해결안 개발, ④ 실
          행 및 평가의 문제해결의 기본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여기서 3단계 해결안 개발 단
          계는 지넷 윙 교수의 컴퓨팅 사고 구성, 즉 분해, 추상화, 패턴인식, 알고리즘의 컴퓨팅
          사고 문제해결 방법 단계 부분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3.3? 	 문제해결 방법

          정보화 사회 도래로 인해 우리의 생활 구조나 패턴, 그리고 업무의 형식이 디지털화 되
          었다. 정보화 시회를 넘어 유비쿼터스 사회를 건너 현재는 미래의 4차 산업혁명을 고민
          하고 있다. 컴퓨터의 활용은 필수적인 수단이며 인간의 문제해결의 중심에 서(Stand)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면 우리의 사고는 당연히 컴퓨팅 사고를 가져야 할 것이다.
          오늘날 컴퓨터는 분절화된 모든 학문을 통섭으로 경계의 벽이 허물어져 ‘Jumping
          Together’할 수 있는 유용하고 필수적인 인간의 문제해결을 위한 도구가 되어 있다. 이
          를 잘 활용하려면 수직적·수평적으로, 학제·개체·사람 간에 통섭으로 새로운 가치
          의 결과를 나타낼 수 있는 문제해결의 준비가 필요하다. 따라서 컴퓨팅 사고로 해결해
          야할 문제를 잘 인식하여 원인 분석을 통해 해결안을 찾아 개발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효과적인 문제해결을 위한 프로세스는 ‘① 문제 인식, ② 원인 분석, ③ 해
   3   4   5   6   7   8   9   10   11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