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 - 스크래치와 함께하는 컴퓨팅 사고 기초부터 프로젝트 완성까지 도서미리보기
P. 9

?CHAPTER 2
                          문제해결

 1? 소개

  인간의 삶은 문제해결(problem solving)로 가득 차 있다. 첫째, 일어나서부터 잠들기까지 일상
생활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아침에 일어나서 ‘세수하기’라는 문제를 해결하고 ‘아침 먹
기’라는 문제를 해결한다. 학교에서는 ‘529의 제곱근은?’과 같은 수학 문제, ‘April is the cruelest
month’를 한글로 번역하는 영어 문제를 해결한다. 때로 난생 처음 해보는 요리로서 ‘소고기무국
끓이기’라는 문제를 해결해야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일상생활 속의 문제해결은 아주 익숙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 몸에 밴 경우가 있다. 세수하기가 대표적이다. 하지만 방법을 새로 배우
거나 고안해야만 하는 경우도 있다. 소고기무국 끓이기가 대표적이다.

  둘째, 현대에는 컴퓨터라는 도구를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경우가 점점 많아진다. 선생님
은 엑셀을 사용하여 ‘성적처리’라는 문제를 해결하고, 학생은 워드프로세서를 사용하여 ‘보고서
작성’이라는 문제를 해결한다. 코딩을 배우는 학생은 ‘소수의 개수를 알아내는 프로그램을 작성’
하는 문제와 ‘벽돌깨기 게임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인공지능 학자는 ‘자율주행
차에 장착할 도로 인식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첫 번째 경우는 인간의 특기인 논리적 사고를 통해 문제해결을 한다. 두 번째 경우는 인간의
논리적 사고에 컴퓨터 기술을 추가로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데, 이 사고 과정을 컴퓨팅 사고

문제 해답 문제                                                                     해답

           논리적 사고                                    컴퓨팅 사고(=논리적 사고+컴퓨팅 기술)
(a) 논리적 사고를 통한 문제해결                                  (b) 컴퓨팅 사고를 통한 문제해결

                          그림 2.1? 문제해결 과정

016 PART 1? 컴퓨팅 사고와 문제해결
   4   5   6   7   8   9   10   11   12   13   14